티스토리 뷰
감가상각비 계산
안녕하세여 . 여러분들은 감가상각비를 알고 계신가요? 감가상각비란 시간이 지나면서 가치가 감소되는 유무형의 자산입니다. 이 제품이나 서비스 등을 통해서 사용된다면 노후남 나큼의 가치가 생기는데요. 제품생산원가에 포함시키는 목적으로 계산한 비용이라고 해요. 이 감가상각비 계산을 해야하는 경우가 있을텐데 말입니다 말입니다 .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더라구요. 그래서 오늘은 감가상각비 계산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. .
감가상각비 계산을 할 수 있는 방법은 정액법, 정률법, 연수합계법, 생산량비례법 이렇게 총 4가지가 있다고 합니다 . 먼저 정액법은 시간을 기준으로 계산하는 방법이고, (취득원가-잔존가치)x상각률이 감가상각비가 되겠습니다 .
정률법은 (취득원가-기초 감가상각누계액)x상각률이 감가상각비가 되는 것으로 장부금액에 일정한 상각률를 곱하는 겁니다 . 그리고 (취득원가-잔존가치)x상각률이 감가상각비가 되는 것으로 매년 다른 상각률로 계산하는 방법입니다.
마지막으로 생산량비례법은 (취득원가-잔존가치) 분의 총예정생산량이 생산량 단위당 감가상각비가되는 계산법입니다. 잔존가치는 상각자산을 폐기하였을때 회수를 할 수 있는 겁니다
.
추정되는 금액을 뜻해여
.
감가상각비 계산하는 방법 중 감가상각비 회계처리 방법도 있다고 합니다 . 직접법과 간접법으로 직접법은 감가상각비 계상과 함께 해당되는 자산 계정의 대변에 직접 올리는 겁니다 . 그리고 간접법은 대변의 계정별로 감가상각누계액이라는 특수계정을 설정하여 직접 올리지 않는 겁니다 .
그리고 간접법은 취득원가를 알 수 있어 실무에서 많이 이용한다고 해여 . 이렇게 감가상각비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았어요. 감가상각비에 대해 관심이 있으신 분들께서 참고하시면 됩니당 .